
주택 청약이 뭐죠? 청약: 일정한 내용의 계약을 체결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일방적 / 확정적 의사 표시. 즉, 주택청약이란 내가 주택을 계약하겠다고 의사 표시를 하는 행위를 뜻해요. 그리고 청약 한 사람 중 추첨을 통해 주택 구매 기회를 주는 것이죠. 청약에 당첨되면 아파트를 초기 분양가로 구입할 수 있기 때문에, 기존 주택 시세보다 저렴하게 내 집을 마련할 수 있어요 청약 자격은 무엇인가요? 주택 청약은 최대한 많은 이들이 주택을 구매할 수 있도록 운영하는 제도에요. 때문에 '청약 통장 납입 횟수', '무주택자', '해당 지역 거주자' 같은 조건을 충족해야만 청약을 신청할 수 있는 거죠. 주택 청약은 크게 2가지로 구분됩니다. -국민주택: 주거 안정을 위해 국가(LH, SH공사)가 직접 건설하는 85m..

계약서 쓸 생각만 하면 긴장되지? 걱정마세요. 이 3가지만 기억하면 됩니다. 자세히 알아보죠 step 1 월세와 전세 중 뭐가 낳을까? 보증금을 마련할 여력이 되면 전세도 괜찮습니다. 기준금리가 치솟은 2022년엔 전세대출 이자 부담이 커 '전세의 월세화'가 심했지만, 최근엔 기준금리도 안정화되고 전셋값도 많이 떨어져 전세 임차인이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. 실제로 서울 아파트 임대차시장에서 전세의 비중은 2022년 ▲10월 57.7% ▲11월53.2% ▲12월 49.5%까지 쭉쭉 떨어졌지만 올 1월 56.5%, 2월 57.9%로 크게 올랐어요(출처 서울부동산정보광장) ※ 서울부동산정보광장 바로가기 서울시 부동산 정보광장 메인 서울 부동산 정보광장 서울의 모든 부동산 정보를 한 눈에, 쉽고 빠르게! land..

전세대출 생소한 단어들이 많은데 은행에서 큰 돈을 빌려야하니 질문을 어떤 걸 해야할지도 모르겠죠 전세대출 받을 때 다른 사람은 어떤 질문을 하는지 알아볼께요 사실 전세대출이 뭔지 잘 모르겠어 전세 대출이란 보증기간(HUG, SGI, HF)이 전세 대출에 대해 보증서(보증보험)을 발급해 주면, 그 보증을 담보로 은행이 돈을 빌려주는 시스템입니다. 즉, 은행도 보증 기관이 대출금의 상당 부분을 보증하기에 돈을 빌려줄 수 있는 겁니다. 물론 그 보증서에 대한 보증료도 내야겠지요 보증료 부담 형태는 보증 기관에 따라 달라요 대출받는 네가 내야 할 수도 있고, 은행이 대신 부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전세대출을 받아 다른 곳에 써도 될까? 그럴 수 없습니다. 전세대출은 대부분 신청자(임차인)가 아닌 임대인에게 돈이..

맞습니다. 13월의 보너스라고 불리기도 하지 않나요 ^^ 전세냐 월세냐에 따라 조금 달라지지만요. 월세세액공제와 전세 대출 소득공제가 있습니다. 지금부터 자세히 알려드릴게요. 월세세액공제 무주택 월세 임차인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입니다. 매년 연말정산을 통해 내야 할 세금에서 작년 한 해 낸 월세 금액의 일정 비율을 공제, 빼주는 겁니다. 전세대출 소득공제가 '세금을 내야 하는 소득 중 일부 금액을 빼주는 방식'이라면, 월세세액공제는 말 그대로 세금을 직접 빼주는 방식이라 절세 혜택이 큰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. 나도 받을 수 있다 몇가지 조건을 충족하면 됩니다. ① 과세기간 종료일인 12월 31일 기준 총급여액이 7000만 원이하인 무주택 세대주 근로자로 ② 아파트와 빌라(주거용 오피스텔, 고..

step1. 첫 번째는 등기사항증명서를 확인하는 겁니다. 봐야 하는 게 정해져 있으니까 귀찮더라도 꼭 확인 미리 봐야 하는 겁니다. 여건이 되면 보는 게 좋아. 등기사항증명서는 집의 신분증과 다름없습니다. 그 집의 소유권, 전세권 등 권리관계가 다 적혀 있습니다. 이걸 어디서 보냐고요? 대법원 인터넷등기소에 접속해 집 주소를 입력하고 수수료(1000원)를 내면 누구든 등기사항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 뭘 봐야 할까요? 만약 소유권에 대한 사항을 알려주는 '갑구'에 다음과 같은 단어가 하나라도 보인다면, 그냥 다른 집을 알아보는 걸 추천합니다. · 가압류 빚을 진 이가 갚지 않을 거 같을 때, 돈을 빌려준 이가 미리 조치를 취하는 거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. 이걸 해놓으면 자기 거라도 빚진 이 마음대..

"어떻게 예방하지?" 가장 널리 알려진 예방책이 있어요. 전세보증금반환보증(보증보험)에 가입하는 거예요. 물론 모든 임차인이 이 상품에 가입할 수 있는건 아니예요. 보증보험마다 다르기 때문입니다. HUG와 SGI서울보증의 상품은 임대차 기간이 1년 이상이면서 계약 기간의 절반 이상이 남아야 가입할 수 있어요. 보험료? 가령 선순위 채권이 없는 시가 5억원 보증금이 4억원인 수도권 아파트에서 HUG 상품(전세보증금반환보증)에 가입하면 1년 보험료는 약 48만원(집값 대비 전셋집 80% 이하, 보증료율 연 0.122%)입니다. 참고로 보증금이 수도권은 7억 원 이하, 이외 지역은 5억원 이하여야 이 상품에 가입할 수 있어요 (2023년 3월 기준) "보증보험에 가입해도 사기당한대" 최근 전세 사기범은 'HU..